부러진 기둥

2025. 5. 31. 18:00명상&쉼터/그림쉼터

반응형

프리다 칼로, 

아픔도 나의 일부임을, 끝내 외면할 수 없었다.     

부러진 기둥 위에 서서     

누군가는 상처를 감추려 옷을 입고,

누군가는 아픔을 잊으려 웃음을 입는다.

 

하지만 프리다 칼로는 달랐다.

그녀는 아픔을 드러냈고, 고통을 응시했고,

부러진 척추를 정면에서 마주했다.

 

그리고 붓을 들어, 그 고통을 하나의 초상으로 남겼다.

그것이 바로 *‘부러진 기둥’*이다.     

 

부서진 기둥, 1944

 

 

 

그림 속 그녀는 반쯤 벌거벗은 채 정면을 바라본다.

몸은 쪼개졌고, 뼈 대신 거친 기둥이 솟아 있다.

기둥은 금이 가 있고, 금속 코르셋이 그 부서진 몸을 간신히 붙잡고 있다.

몸 전체엔 못이 박혀 있다.

그 못 들은 단순한 통증이 아니라,

삶 전체를 관통한 절망과 분투의 증표다.     

 

프리다에게 그림은 고통의 탈출구가 아니었다.

오히려 고통을 직시하고,

그 안에서 자신의 존재를 다시 확인하는 통로였다.

그녀는 말했다.

 

“나는 나를 그린다. 

왜냐하면 내가 가장 잘 아는 주제이기 때문이다.”   

  

그녀가 가장 잘 아는 것은 고통이었다.

열여덟, 버스 사고로 산산이 부서진 뼈.

평생 이어진 수술과 침대에 묶인 시간들.

육체의 파열은 그녀의 세계를 찢었고,

그 틈 사이로 그녀는 붓을 들고 자신을 꿰맸다.  

   

그림 속 프리다는 울고 있지만 눈물은 없다.

표정은 담담하고, 눈빛은 흔들림이 없다.

그것이 더 아프다.

울지 않는 고통, 말 없는 절규.

그녀는 아픔을 감추지 않았고,

끝내 외면하지도 않았다.    

 

 

 

 

 

우리는 살아가며 종종 아픔을 부끄러워한다.

보여주면 약해 보일까 두렵고,

그것마저 나인 줄 인정하기 싫어 도망친다.

그러나 프리다는 말한다.

 

“아픔도 나의 일부였다.”

“나는 그 고통 위에 서서 나를 다시 그렸다.”     

‘부러진 기둥’은 그녀의 자화상이자,

우리 모두의 내면에 존재하는 균열을 비추는 거울이다.

 

삶이 무너졌을 때,

우리는 무엇으로 다시 버티고 설 수 있을까.

그 질문 앞에서 프리다는 대답하지 않는다.

대신 자신의 부서진 몸으로 말한다.

 

“무너졌지만, 나는 여전히 나다.”     

 

오늘, 나 또한 조용히 내 안의 기둥을 들여다본다.

그 기둥이 금이 가 있어도,

못이 박혀 있어도,

그 위에 내가 살아 있음을 기억하며.     

 

 

두 명의 프리다 1939

-----------------------------------------------------------------------

 

베토벤 교향곡 5번 운명 1악장

https://youtu.be/UgQarIwXVEA?si=NLPVdvoyB6qhMpja

 

반응형

'명상&쉼터 > 그림쉼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박, 무한한 반복 속의 존재  (0) 2025.06.02
이삭 줍는 여인들  (1) 2025.06.01
인간의 아들  (0) 2025.05.30
진주 아래 숨겨진 마음  (0) 2025.05.29
물 위에 뜬 시간  (0) 2025.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