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간단하게 저평가 주식 찾는 방법
2025. 3. 14. 17:10ㆍ주식 투자/주식기초
반응형
1. 3년이상 REO 15% 이상 -----------> "수익성이 높은 기업"
ROE는 자기자본이익률 을 뜻하는 말인데요.
당기 순이익을 평균 자기 자본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즉, ROE 지표는 기업이 자기의 자본으로 1년 동안
얼마의 순 이익을 만들어 냈는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네이버 금융에서 연도별 ROE 비교하기
: 검색창에서 종목 검색
➡️ [종목 분석]
➡️ [컨센서스]
➡️ [연간] 혹은 [분기] 선택 후 ROE 확인하기
2. PBR 0~1배 이하 ----------> "시장에서 저평가된 기업"
Price Earnings Ratio의 약자로, 주식의 현재 가격을 EPS(주당 순수익)으로 나눈 값을 의미합니다.
이 비율은 투자자들이 주식을 구매할 때 지불하는 가치가 이익 대비 얼마나 되는지를 나타냅니다.
한주 10,000원인 기업의 주당순수익이 1,000원이라면 해당 기업의 PER는 10,000원/1,000원= 10으로 계산됩니다.
이렇게 PER가 낮은 주식은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높은 PER은 고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성장성이 높은 기업은 높은 PER를 유지할 수밖에 없습니다.
왜냐하면 실제 벌어들이는 수익은 적지만 미래 높은 성장성을 고려해 현재 주가에 많이 반영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이는 절대로 절대적인 수치가 아님을 명심하셔야 합니다.
반응형
'주식 투자 > 주식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벚꽃 배당주 (2) | 2025.03.15 |
---|---|
RSI 지표 매매법 (1) | 2025.03.15 |
스윙매매란? (4) | 2025.03.14 |
주식 종목 선정 원칙 (1) | 2025.03.14 |
500만원에서 1100억으로 성공적인 전설의 트레이더의 비밀! (1) | 2025.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