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6. 3. 12:03ㆍ주식 투자/주요뉴스
역대 대통령 선거 후 주가 변동을 분석하여 과거 정부의 사례를 통해 대선 후 주가 상승 요인과 하락 요인을 살펴보고,
특히 정부 지출 증가가 주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합니다.
하지만 현재 글로벌 물가 상승, 미국 금리 인상,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불확실한 대외 환경으로 인해 섣부른 낙관은 어렵다는 분석도 제시합니다.
결국, 새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른 특정 업종에 주목하는 것이 투자 전략의 핵심임을 시사합니다.
지금까지 기록을 보면 대선이 끝나고 주가가 상승한 경우가
많았는데요! 1981년부터 9번의 대선 이후 주가 변동사항을
보면 1달 후 코스피가 하락한 경우는 3번, 1년 후 하락한 경우 도 3번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 그럼 평균 상승률은 어떻게되나 봤더니 1달 후 상승률은 3~4%, 1년 후에는 14~16%가 올랐다고 하는군요.
이번 대 선 이후에도 내수 경기를 살리기 위한 정책이 본격 가동되면 서 주가도 상승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습니다.
- 하지만 1980년대의 과거데이터까지 같이 보니 좀 아쉬운 면이 있죠! 예전에는 상승 및 하락 폭이 너무 크다보니 최근 데이터만 본다면 3~4% 상승은 좀 기대하기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대선 후 강세를 보인 업종은?
과거 사례를 바탕으로 주목할 만한 업종을 정리해 봤습니다.
✔ 1개월 수익률 TOP 업종
- 소매·유통: +7.5%
- 필수 소비재: +6.4%
- 증권: 기대 업종
단기적인 소비 확대와 정책 기대가 반영된 업종입니다.
다만 상승폭은 3개월 뒤 급격히 줄어드는 경우가 많으니 단기 접근이 유리합니다.
✔ 3개월 수익률 강세 업종
- 은행: +10.4%
- 통신: +9.2%
- IT·하드웨어: +6.0%
IT·하드웨어는 특히 중소형주 중심으로, 정책 모멘텀에 따른 수혜 가능성이 큽니다.
반도체 소부장 & 신재생에너지에 주목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는 이번 대선 이후에도 유망 업종으로 꼽힙니다. 미국 기술주와의 **높은 상관관계(0.8)**도 주목할 포인트입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는 여야 후보 모두 원전과 재생에너지의 균형 정책을 강조하고 있어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기대됩니다.
'주식 투자 > 주요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 낮은 덜 오른 종목 (0) | 2025.06.30 |
---|---|
3316.08 (2) | 2025.06.24 |
트럼프, 외국인 투자에 ‘벌칙세’ 추진 (0) | 2025.06.02 |
미 항소법원 '트럼프 관세' 일시복원 결정 (0) | 2025.05.30 |
국민연금의 투자 전략 변화 (2) | 2025.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