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IMF

2025. 3. 23. 14:21주식 투자/재테크왕

반응형

한국경제가 심상찮은걸로 보입니다.

주변에 노후자금으로 상가를 매입한 분들은 완전 파산 직전이고, 부동산 영끌로 구매한 청년들도 이자를 못내고 있고,

내수경기는 침체상황이라 자영업폐업이 속출하고있고

주요 대기업들은 구조조정에 들어가고있음

자영업자와 구조조정된 영끌러들의 집이 경매에 나올것이고

은행부실로 이어져서 금융권에 충격이 오면 그때부터

제2 IMF 시작되는거임

한국은 본디 수출이 받쳐주는 경제구조인데 미국의 자국주의+세계경제침체+중국기술의 발전으로

현재는 수출도 힘든 상황

여기에 가계부채문제에 내수침체까지 더해져 대공황올 것 같다는 폭락론자들이 많아 지고 있습니다.

그냥 무시 하기엔 주변 조짐이 수상합니다.

 

특히, 저축은행들 수상심각합니다. 금리 높다고 돈 넣으신 분들 재고 하셔야 합니다.

 

 

2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4년 저축은행 및 상호금융조합 영업실적' 잠정치를 보면 국내 79개 저축은행 연체율은 8.52%로 전년 말(6.55%) 대비 1.97%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15년 말 9.2% 이후 최고치다.

부동산 PF 대출 부실 등으로 기업대출 연체율이 12.81%로 급등한 것이 전체 연체율을 밀어올렸다. 전년 말(8.02%) 대비 4.79%포인트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년 말(5.01%) 대비 0.48%포인트 하락했다.


저축은행은 지난해 순손실 3974억원을 기록하며 2년 연속 적자를 나타냈다. 전년(5758억원)보다는 적자 폭이 1784억원(31%) 줄었다.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한 것은 2014년 이후 10년 만에 처음이다. 저축은행 사태 당시 적자 규모는 2011년 349억원, 2012년 3831억원, 2013년 6823억원, 2014년 3089억원이었다.

반응형

'주식 투자 > 재테크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매 시 신중해야 하는 아파트  (2) 2025.04.05
국민연금 받을 때 '이것' 알고 있으면 혜택!  (2) 2025.04.05
부자의 공통 점  (0) 2025.03.20
MZ 세대 절약 꿀팁  (2) 2025.03.19
안전한 엔화 투자  (0) 2025.03.11